강태성 박사 뉴로옵티멀트레이닝(zhealth내용) 전정핵 내림신경로와 전정계 트레이닝을 어떻게 하는것인가?(Vestibular Nuclei Descending Pathways)
전정핵 내림신경로(Vestibular Nuclei Descending Pathways)
균형을 넘어서, 전정계는 자세 교정과 안정성에 필수적인 척추주변 근육들(paraspinal muscles), 척추기립근, 신장근육들(extensors)에 대한 내림신경로 조절의 원천이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차트의 중심에 있는 다발(cluster)에는 전정핵 중의 하나가 존재한다. 이 전정핵의 기능은 신호를 보내서 신체의 여러 신전근(extensor)을 활성화시킨다. 외측 전정척수로(lateral vestibulospinal tract)를 통한 이러한 의사소통은 다양한 환경에서 우리의 몸을 안정적으로 유지 시키게 도와준다. 이 신전근들은 다양한 움직임에서 우리의 몸을 안정적으로 유지 시켜준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신전근 중심의 활동 안에서 본인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고 싶어하는지 생각해 보아라. 만약 고객들이 더 많은 무게를 치며 데드리프트를 하기를 원하거나, 더 높이 점프하거나, 더 빨리 뛰기를 원할 수 있다. 또 더 어려운 산을 등산하기를 원해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고객들은 엉덩이와 무릎을 강력하게 뻗을 수 있는 퍼포먼스의 향상이 필요하다. 또 척추와 그들의 어깨도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대상 전정 훈련(targeted vestibular training)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달성할 수 있다. 내이와 신체 근육을 연결하는 뇌줄기와 척수의 고유한 경로가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각 시스템은 전정계를 무시할 수 있다.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인풋이 제대로 해석되지 않는다면 감각 불일치가 생겨서 광범위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이를 활성화 시키고 균형을 잡도록 도와주고, 감각 불일치가 뇌를 무장해제 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정 운동 몇 가지를 소개해주겠다.
요약
(1) 전정기관은 내이 안에 있고, 균형과 안정성, 자세를 조절한다.
(2) 전정기관의 주된 질문은 두 가지다.
-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위쪽이 어디인가?
(3) 전정기관은 척추주변 근육들, 척추기립근, 신장근들에 대한 내림신경로 조절의 원천이다.
균형 개선(Balance Progression)
균형 개선 운동은 균형 훈련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로 상호보완하며, 강도를 증가시켜서 더 강력한 활성화를 만든다.
#1. 머리 움직임
(1) 관심이 있는 기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근력, 유연성, 이동성 등. 처음 평가한 내용을 기준점으로 삼는다.
(2) 고객은 두 발을 모으고, 신발과 양말을 벗은 채 서 있기로 시작한다.
(3) 고객은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고, 멈춘다. 그리고 나서 흔들림이나 불편함이 있는지 말하라고 하고, 기록한다. 그런 다음 고객이 다시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려 동일한 흔들림이나 불편함이 있는지 찾도록 한다.
(4) 그 다음으로 머리의 어떠한 회전도 하지 않은 채, 오른쪽으로 고개를 기울인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회전을 하지 않으며 고개를 다시 왼쪽으로 기울인다. 고개를 돌릴 때와 마찬가지로, 모든 움직임의 끝에서 흔들림이나 불편함이 있는지 확인한다.
(5) 마지막으로, 고객이 편안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턱을 가슴에 닿게 해보고, 또 고개를 젖혀보게 한다. 이러한 움직임의 끝에서 잠깐 멈춰서 흔들림이나 기타 다른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다.
(6) 처음에 평가했었던 근력이나 유연성과 같은 영역을 재평가해본다. 얼마나 훈련들이 효과적인지를 확인해본다.
강태성 박사의 NRT(AK뉴로트레이닝) IRT은 무엇인가? (0) | 2025.04.17 |
---|---|
낙상예방 균형(balance)과 전정척수반사 섭동훈련(Perturbation)를 해야 하는 이유? (2) | 2025.03.05 |
소뇌 트레이닝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25.03.03 |
ak뉴로트레이닝(nrt) 시각트레이닝 near far / level 1~10 운동은 어떻게 하나요? (0) | 2025.02.27 |
visiontraining(시각 트레이닝)에서 깊이 판단(DEPTH PERCEPTION) 이 중요한 이유? (0) | 2025.02.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