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RT트레이닝(AK뉴로트레이닝) 4기 수업은 어떻게 진행 되었을까요?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NRT트레이닝(AK뉴로트레이닝) 4기 수업은 어떻게 진행 되었을까요?

나의 강의 스토리/트레이너교육

by 뉴로트레이너 모토컨트롤 강박사 2025. 2. 22. 22:17

본문


응용근 신경학(applied kinesiology, AK) 에서 인간의

구조(Structural) : CST,TMJ.Muscle.reflexs
화학(Chemical) : 영양학, 알레르기 등
정신(Mental) : 스트레스, 정신 요법 등
에너지(meridian) : 경락 에너지

​4가지 카테고리 안에 인간의 11개 시스템 넣고 좀 더 Holistic 관점에서 BETTER MOVEMENT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운동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다양한 방법으로 중재를 한후 어떤 운동으로 접근할지 나에게 맞는 정보를 찾아 운동 드릴을 제공하게 됩니다.

근반응검사 혹은 근육평가를  통해 인체균형을 잡고 에너지 불균형의 해소를 합니다, 
각각의 근육은 림프의 흐름, 혈액의 흐름, 척추, 내부장기들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홀리스틱한 개념으로 구조,화학, 감정,에너지에서 원인을 찾아 어떤 인풋을 주고 어떤 운동을 줄지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신체기능을 정상적으로 돌려놓기 위한 신경 혈관 반사, 림프반사, 모토 컨트롤, 시각,전정, 에너지의 흐름, 뇌척수액 등을 사용하는 테크닉입니다. 

결국 강태성박사의 NRT 트레이닝은 근신경계 반응을 통한 인체의 문제를 찾는 스크린 평가 방법 입니다

척수를 타고 들어오는 정보나 발바닥에서 들어오는 정보 손에서 들어오는 감각정보들이  dorsal column을 통해서 올라가는 것을 제외하고 일정부분은 뇌신경이나 RF나 brain stem에 영향을 주게 된다.

고유수용감각이나 외부수용성 정보들이 pons와 medulla 전달되고 운동과 운동전피질(PM)이나 운동보조영역(SMA)에서도 pons와 medulla로 전달된다.
vermis에서는 midbrain을 통해 뇌간과 층별로 정보를 전달한다
 
기저핵은 움직임을 관장하는 대장으로 피질 기저핵 소뇌 정보를 mesencephalic 보행 영역으로 보낸다

무의식적인 움직임으로 PMRF로 갔다가 CPG로 간다

내가 움직임을 계획하고 만들어지는게 아니고 하품하고 웃는거 숨쉬는거 보행등이 cpg다 
뇌간에서 이것들이 나타난다

작동되면서 움직임이 나오게 되는것이다. 

의식적인 움직임이 아니고 자동적으로 나오는것이다.

부드러운 추적 이 안되는 경우 (smooth pursuit) 눈을 감고 이미지를 상상하라고 했다.
한달후에 눈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선수들은 이미지가 선명할수록  움직임에 퀄리티가 달라진다. 가령 한마 바키의 훈련영상을 찾아보시면 된다.


선수들 분위기 환경, 응원소리,바람, 공기 이걸 느끼는 선수들은 차이는 엄청크다

이지미를 정교하게 만드는것이 뇌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고 생각도 정보이자 드릴이고 훈련이 된다

모티베이션 영상을 보는 이유라고 할수 있다.

손을 떠는 경우도 소뇌 기능이 떨어진 확률이 높다.

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소뇌의 기능을 좋아지게 하는 방법은 ? 좋은자세를 유지하는것이다

즉, 우리가 필드에서 트레이닝할때 바른자세라고 하는 관점에서 타켓머슬을 인지할수 있도록 트레이닝시키는것이

뉴로트레이닝이라고도 할수 있다. 

소마틱한 운동, 즉 뉴로운동의 핵심은  인지능력과 관련이 있다


소뇌는 너무 바쁘고 하는일이 많다
소뇌 척수로는 골지건 텐던, 기계적수용기, 근방추 정보가 소노로 간다
이걸 받아서 통합을 해야 하는데 전정기관에서 받고 대뇌와도 소통을 하면서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요약해서 피질로 보내지는 것이다.


대부분 자세라고 말하면 정적 자세에 대해서 똑바로 서 있는거에 대해서 말하게 됩니다
너무 잘못된 생각이지요
하루종일 컴퓨터를 하거나 앉아 있는것이 나쁜 자세의 원인이 아니라고 말하면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왜냐하면 우리는 의식적으로 자세를 컨트롤 할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자세는 우리 뇌의 무의식적인 부분에 의해 제어 됩니다
우리의 뇌는 심장박동수, 호흡이 더 중요하기에 실제로 자세를 개선하기 위해 더 노력을 하지 않습니다. 

설명하면 우리 뇌는 마스터 컴퓨터이고 근육은 그 명령에 응답을 합니다.
우리의 뇌는 두가지 규칙에 따라 근육이 움직이도록 합니다.


첫번째 우리 발은 정렬이 되어야 합니다.

두번째 우리의 눈은 지면 지평선과 일치 되어야 합니다. 


인간의 자세는 발을 눈에 두고 환경에 대한 경험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합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발로 땅 느끼고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이는 결국 머리를 들어 올리는데 도움이 되며 목과 등 근육을 강화되 걷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이 시각과 전정계 뇌간과 소뇌 등등의 중요성입니다.


인체는 굴곡과 신전의 시너지를 가져야 한다. 
중력에 맞서서 싸우려면 똑바로 서서 에너지 낭비 하는것을 최소화 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퍼스트 브레인 생존반사능력,자연치유능력은  살고자 하는 본능인 것이다.

결국 자세 불균형에 원인은 발과 눈, 턱에 문제가 근본인 문제로 생각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