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트레이닝관점으로 보는 건강한 뇌와 만성통증의 뇌
만성통증은 부상, 신경 손상, 염증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손상의 치료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3~6개월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것이다. 이런 만성통증은 뇌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데, 시상이나 전전두엽피질 등 통증 처리에 관여하는 뇌 부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일으킨다.

만성통증에는 두통, 허리통증, 섬유근육통(Fibromyalgia)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 통증 유형은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성통증이 특정 부위의 회백질 감소, 통증 처리와 관련된 특정 부위의 활동 증가 등 뇌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1) 전전두엽피질
전두엽피질은 의사결정, 주의력, .작업 기억과 같은 실행 기능을 담당한다.
만성통증은 전전두엽 피질, 특히 배측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에서 회백질 부피의 감소와 관런이 있다.
회백질의 이리한 감소는 주의력, 의사결정 및 작업 기억의 어려움과 같은 인지적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2 운동피질
자발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는 뇌의 영역이다.
만성통증은 주로 뇌의 감각 및 감정 처리 영역의 변화와 관련이 있지만 만성통증이 운동피질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만성적인 통증을 가진 사람들이 1차 운동피질에서 회백질의 부피가 감소하고 그 결과로 운동 학습 능럭이나 가소성 능력이 줄어들게 되어 운동 장애 결손을 일으키게 된다.
3 체성감각피질
촉각,통증.온도와 관련된 감각 정보를 처리한다. 만성통증은 체성감각피질의 회백질 두께가 줄어들게 만든다.
이러한 구조적 번화는 통증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4 소뇌
소뇌는 운동 조절, 자세 조절, 균형 유지, 인지 기능에도
관여하는 뇌의 부위이다. 만성통증은 소뇌의 부피 감소를 유발할 수있으며 이러한 부피의 감소는 주의력과 기억력 문제와 같은 인지적 결함뿐만 아니라 운동 기능과 균형의 손상에 영향을 준다.
5 인슐라
인슐라는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정보의 처리에 관여하는 뇌 영역이다. 만성통증은 인슐라의 기능적 번화를 증가시켜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장애가 발전하게 하고 통증을 증가시킨다.
6 전측대상회피질(ACC, Anterior cingulate cortex)
통증 처리와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이다.
주의력, 감정, 의사결정 등 광범위한 기능에 관여하며 만성통증으로 인해 역시 회벡질의 감소가 일어나고 이 변화는 통증을 제어하는 기능의 약화를 가져와 통증이 증가한다.
7 시상
시상은 감각을 대뇌피질로 연결하는 문지기 역할을 한
다. 만성통증은 시상의 회백질 감소를 초래하고 통증을 제어허는 신호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통증이 증가하도록 한다.
8 편도체
편도체는 공포, 불안과 같은 감정의 처리에 관여한다.
만성통증은 편도체의 기능적 변화를 일으켜 공포, 불안, 통증의 감정을 과도하게 일으키게 된다.
9 해마
해마는 기억 형성과 회복에 관여한다. 만성통증은 해마의
회백질 부피 감소를 일으킨다. 이러한 변화는 공간 기억 능력을 떨어트리고, 통증을 뇌 다른부위에 연결하는 기능 변화를 일으켜 통중을 중폭시킨다.
만성통증은 소뇌와 전두엽피질, 섬과 같은 다른 뇌 영역사이의 연결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변화는 통증에 대한 정서적 반응뿐만 아니라 통증 처리 및 인식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같이 만성통증은 전방위적으로 뇌에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점차 통증을 느끼는 신경로와 뇌 연결 부위들이 통증에 과도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통증의 과민적 중심화이고 이 통중의 과민적 중심화는 감정적 스트레스와 같은 감각도 통증으로 인지되게 만든다.
이제 뇌의 기능과 히스토리 체킹이 된다면
고객님에게 어떤 인풋을 줄지 고민 해보면 됩니다
해마 트레이닝은 어떻게 하는것일까요?
시상은 어떤 트레이닝을 해야 하나요?
궁금하시면 NRT (ak뉴로트레이닝) 수강해보세요
NRT트레이닝은 응용근신경학을 기반으로
뉴로사이언스 메카니즘으로 트레이닝 합니다
#기업체강의문의
#근신경계트레이닝
#NRT6기모집
#대전pt
#대전체형교정
#대전자세교정
#강태성박사#모토컨트롤아카데미